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어서오세요. 첫 번째 주제 소개해주시죠. <br> <br>'분조장'입니다. 요즘 국정감사가 한창인데, 국감장이 아니라 분조장이다, 이런 말이 나옵니다. 분조장은 분노조절장애입니다. <br><br>Q. 어제는 욕설까지 나왔는데, 이게 뭐 처음 일은 아니잖아요? <br> <br>그렇습니다. 민주당이 윤리위에 제소한 여상규 위원장의 분노조절장애는 습관성이라고 할 만큼 빈번했습니다. <br> <br> 여상규 / 국회 법사위원장 (지난해 9월) <br>"됐습니다. (의사진행발언) 안 받겠습니다." <br> <br>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해 9월) <br>"위원장님!" <br> <br>여상규 / 국회 법사위원장 (지난해 9월) <br>"내가 @@@@@!!" <br> <br>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해 9월) <br>"그렇게 하시면 안 돼요!" <br> <br>여상규 / 국회 법사위원장 (지난해 9월) <br>"왜 안돼요!? 이런! 쯧! 지금 이 회의 진행권은 위원장이 가지고 있어! 어디 큰소리야!" <br> <br>박지원 / 당시 민주평화당 의원 (지난해 9월) <br>"아무리 사법부라 하더라도 잘못된 것을 지적하고" <br> <br>여상규 / 국회 법사위원장 (지난해 9월) <br>"뭐가 잘못됐어요!" <br> <br>박지원 / 당시 민주평화당 의원 (지난해 9월) <br>"위원장이 사회만 보면 되지, 무슨 판사야 당신이?" <br> <br>여상규 / 국회 법사위원장 (지난해 9월) <br>"이런? 당신이? 뭐 하는 거야, 지금! 당신이라니!" <br> <br>박지원 / 당시 민주평화당 의원 (지난해 9월) <br>"당신이지, 그럼 우리 형님이야?" <br><br>Q. 참. 카메라로 찍고 있다는 걸 알텐데요. 정말 갑자기 '버럭' 하네요. <br><br>보는 사람이 당혹스러울 정도인데요, 어제 여상규 위원장의 욕설도 문제지만 발언 내용도 심각했습니다. <br><br>패스트트랙 사건을 두고 "정치의 문제다. 검찰이 함부로 손댈 일이 아니다"라면서 수사에 외압을 행사하는 듯한 발언은 한 건데요, 이렇게 되면 또 다른 내로남불이겠죠. <br> <br>그러자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가 이런 필살기를 선보였습니다. <br> <br>이인영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오늘) <br>"여상규 의원에게 고스란히 반사해서 돌려주겠습니다." <br><br>Q.그런데 문제가 되는 의원이 여상규 위원장만은 아니죠? <br> <br>맞습니다. 오늘 행정안전위원회 국감에선 권은희 바른미래당 의원이 조국 장관을 조국 전 민정수석이라고 부른 것을 두고 이런 막말이 오갔습니다. <br> <br>소병훈 / 더불어민주당 의원 <br>"정말 그런 덜떨어진 옛날 정치 안 했으면 좋겠어요." <br> <br>조원진 / 우리공화당 의원 <br>"야! 너 뭐라고 얘기했어?" <br> <br>소병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 <br>"상임위에서 말이야. (여상규 위원장이) X신이라고나 하고." <br><br>Q. 막말 의원으로 매번 비판받으면서도,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 대체 뭘까요? <br><br>여상규 위원장은 자신이 흥분해 무슨 말을 했는지조차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. 그러자 이런 진단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(ytn 라디오,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) <br>"놀라운 건 그 말을 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거거든요. 그만큼 어떻게 보면 일상적으로 하셨을 수도 있다." <br> <br>늘 해오던 말이 무의식중에 튀어나왔다는 겁니다. 이번 욕설 파문은 외신에까지 보도됐습니다. 오늘의 한마디는 "싸움의 품격"입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 넘어갈까요? 좀 즐거운 소식인가요? <br> <br>'마음의 소리'입니다. 어제 법사위 국감장에선 뜻밖의 마음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김도읍 / 자유한국당 의원 (어제) <br>"내로남불도 유분수지." <br><br>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 <br>"내가 조국이야? 내가?" <br><br>Q. 국감장에서 웃음 터지는 모습, 오랜만이네요? <br> <br>그렇죠. 딱 한 사람, 김종민 의원만 웃지 않던데요, 야당에서 내로남불을 지적하는데, 김 의원이 "내가 조국이야?" 이렇게 말한 걸로 봐서는 김 의원 무의식에 조국 장관은 위선적이다,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? <br> <br>정치권에선 종종 뜻하지 않게 '마음의 소리'를 들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박지원 / 당시 국민의당 대표 (2017년 4월) <br>"문재인이 되어야 광주의 가치와 호남의 몫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 <br>(안철수 안철수!) 안철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가 일부러 한 번 실수해 봤습니다." <br> <br> 김무성 / 전 새누리당 대표 (2016년 4월) <br>"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 안철수를 선택해주기를 여러분의 애국심..아니 다시 하겠습니다. 웃기려고 일부러 그랬습니다." <br><br>Q. 김무성 의원은 안철수 후보가 아니라 이준석 새누리당 후보를 지원하려고 했던 거죠? <br><br>네 맞습니다. 당시 안철수 후보와 경쟁을 했는데, 김무성 전 대표가 헷갈린 거죠. <br> <br>하지만 공교롭게도 박지원 의원은 현재 누구보다 문재인 대통령을 옹호하고 있습니다. 또 당시 이준석 후보는 현재 안철수 전 대표가 있는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이니 '마음의 소리'대로 움직인 건지도 모르겠네요. <br><br>네, 정치인들이 말 한 마디의 무게를 느꼈으면 합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